가정 경제생활이 여의치 못한 분도 은근히 모르시는 지원 제도가 근로장려금입니다. 올해 2023년은 최대로 받을 수 있는 근로장려금 지급액도 인상됐다고 하는데요. 상승 금액과 지급액 조회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로장려금 신청 기간과 신청 방법도 함께 알아보세요!
근로장려금 지급액 상승
근로장려금은 소득이 적은 분들에게 지원금을 주어 일을 더 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제도 입니다. 이왕 받는 근로장려금이니 받을 수 있는 액수 전부를 지원받는 게 좋습니다. 이걸 '최대 지급액'이라고 합니다.
기쁜 소식은 이번 연도 지원금이 작년보다 증가했다는 점입니다. 단독가구는 15만 원, 외벌이는 25만 원, 맞벌이는 30만 원으로 10%나 인상되었습니다. 아래 표는 2023년 최신 개정된 최대 지급액과 재산 조건입니다.
가구 | 2022년 | ★ 2023년 ★ |
단독 | 150만원 | 165만원 |
홑벌이 | 260만원 | 285만원 |
맞벌이 | 300만원 | 330만원 |
재산요건 | 2억원 미만 | 2.4억원 미만 |
'재산 요건'은 소유하고 있는 재산(주택, 땅, 예금, 차 등)의 합계 금액입니다. 올해는 2억 4천만 원 미만으로 좀 더 많은 가구가 지원을 받을 수 있겠습니다.
서민금융 근로자 서민 금융 지원 받는 방법
신청 조건
1년 동안의 발생한 소득(근로, 사업, 종교인) 기준 금액을 '총소득기준금액'이라고 합니다. 전년도 가구별 (부부) 합산 총소득금액이 어느 정도여야 하는지 가구별로 알아봐야겠습니다.
그렇다면 우리 집은근로장려금 대상자가 될 수 있을까요?
- 단독 : 2,200만 원
- 홑벌이 : 3,200만 원
- 맞벌이 : 3,800만 원
근로장려금 신청 대상 가구는 소득과 재산 조건이 해당해야 합니다. 단독가구는 2200만 원 이하, 홑벌이 가구는 3200만 원 이하, 맞벌이 가구는 3800만 원 이하가 기준입니다.
좀 더 세분화하여 총 급여액(얼마를 벌었는지)에 따라 근로장려금 계산 방법이 나뉩니다. 지금부터 최고 소득 인정 구간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해당 구간에 나의 소득이 들어가는지 확인해 보세요!
- 단독 가구 : 연 400~900만 원 소득시 165만 원 지급
- 홑벌이 가구 : 연 700~1,400만 원 소득시 285만 원 지급
- 맞벌이 가구 : 연 800~1,700만 원 소득시 330만 원 지급
근로장려금 지급액 조회 방법
근로장려금 지급액을 예상 조회해 볼 수 있습니다. 국세청 인터넷 홈페이지 '홈택스'에서 신청 조건들을 입력하면 직접 계산할 수 있습니다.
▶ 2023년 근로장려금 조회 바로가기
지금까지 23년 개정된 근로장려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정부 혜택 놓치지 마세요!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신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 조건 연봉 (0) | 2023.03.02 |
---|---|
2023년 근로장려금 신청 기간 및 방법 (0) | 2023.02.22 |
주택연금 신청방법 및 가입조건 (0) | 2023.02.16 |
주택연금 매월 수령액 계산 방법 (0) | 2023.02.14 |
23년 대한한공 마일리지 공제표, 달라지는 구간별 차감액 (0) | 2023.02.12 |
댓글